스테이블코인

국내 상장사 중 스테이블코인 관련 사업을 하는 기업은?

kisense 2025. 7. 6. 12:21

스테이블코인은 디지털 자산 생태계의 ‘화폐 역할’을 하며 2025년 이후 국내에서도 전자지급수단으로 법제화될 예정입니다.
하지만 많은 개인 투자자들은 “어떤 국내 기업이 실제로 스테이블코인과 관련된 사업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대로 알지 못합니다.

스테이블 코인 사업에 뛰어든 국내 상장사 TOP 6

 

이제는 단순히 코인을 매수하는 것보다 그 코인을 발행하거나, 인프라를 제공하거나, 연계 플랫폼을 보유한 상장사에 투자하는 것이 더 안정적이면서도 제도 수혜를 노릴 수 있는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국내 코스피·코스닥 상장사 중에서 스테이블코인 관련 기술이나 사업을 실제로 추진 중인 주요 기업들을 직접적인 관련성 기준으로 분류해 살펴보겠습니다.

 

✅ 카카오 (종목코드: 035720) – ‘클레이튼·클립’ 기반 원화형 스테이블코인 실험 중

카카오는 자회사 그라운드X를 통해 자체 블록체인 플랫폼인 클레이튼(Klaytn)을 개발 및 운영하고 있으며 이 클레이튼 생태계에서 원화 연동형 스테이블코인(KRT)을 실험적으로 도입하고 있습니다.

또한 카카오의 디지털 지갑 서비스인 ‘클립(Klip)’은 스테이블코인을 포함한 디지털 자산을 저장·송금·결제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발전 중입니다.

클레이튼과 연동된 디앱(DApp)이나 NFT 프로젝트에서 KRT를 사용하는 실험도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카카오는 이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해 폐쇄형 플랫폼 결제·리워드 시스템을 구축할 가능성이 큽니다.

 

✅ 네이버 (종목코드: 035420) – 일본·동남아에서 스테이블코인 결제 실증 사업 진행

네이버의 일본 자회사 라인(LINE)은 블록체인 사업부인 라인넥스트(LINE NEXT)를 통해 일본 엔화 연동 스테이블코인 발행 실증 프로젝트에 참여 중입니다.
일본 금융청의 승인 절차를 거쳐 라인페이 생태계와 연동된 디지털 통화 결제 모델을 실험하고 있습니다.

또한 태국 등 동남아 시장에서 현지 통화 기반 스테이블코인과 라인페이 간 통합 결제 실험도 진행 중이며 해외 사업 성과가 국내 네이버페이, 스마트스토어로 확장될 수 있는 구조적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 위메이드 (종목코드: 112040) – WEMIX$ 스테이블코인 발행 및 생태계 운영

위메이드는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 ‘위믹스(WEMIX)’를 운영하며 자체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WEMIX$’를 2023년 말 발행했습니다.
WEMIX$는 미 달러와 1:1로 고정되며 위믹스 생태계 내 게임 결제, NFT 마켓, 디파이 서비스 등에서 실제 결제 및 리워드 통화로 사용됩니다.

이 스테이블코인은 특히 ‘미르M: 뱅가드 앤 배너’, ‘레전드 오브 이미르’, ‘나이트 크로우’ 등 위메이드의 대표 블록체인 게임에서 게임 내 아이템 거래, P&E(Play and Earn) 보상, 유저 간 토큰 교환 등의 방식으로 실질적인 활용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미르M’에서는 게임 플레이를 통해 획득한 토큰을 WEMIX$로 전환해 디지털 자산으로 출금하거나 ‘나이트 크로우’에서는 NFT 캐릭터와 아이템을 WEMIX$로 사고파는 구조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위메이드는 이 스테이블코인을 중심으로 게임 내 경제 시스템의 안정성 확보, 유저 간 자산 거래 및 보상 투명성 제고, 디파이 유동성 공급
다양한 블록체인 금융 실험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 한화생명 (비상장 계열, 참고: 한화생명은 한화(000880) 그룹 소속)

한화생명은 2023년 말 ‘HANAWON’이라는 원화 연동 스테이블코인 개발 프로젝트에 착수했으며 이 스테이블코인은 보험료 결제, 디지털 청약, 내부 정산용 디지털화폐로 활용될 예정입니다.

현재는 비상장 자회사에서 테스트 중이지만 그룹 전체가 디지털 자산 기반 인프라에 진입 중이기 때문에 주식 투자 측면에서는 지주사인 한화(000880)를 통해 관련 수혜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 NHN (종목코드: 181710) – 페이코(PAYCO) 기반 스테이블코인 연동 실험 중

NHN은 간편결제 서비스 페이코(PAYCO)를 통해 가상자산 기반 정산 시스템 연동을 연구하고 있으며 2025년 이후 스테이블코인 결제 및 포인트 전환 시스템 도입을 고려 중입니다.

NHN페이코는 블록체인 전문 자회사와의 협업을 통해 스테이블코인을 포인트와 1:1로 전환하는 내부 실험을 진행 중이며 이는 향후 핀테크 결제 플랫폼 내 실질적인 디지털 머니 구조로 확장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갤럭시아머니트리 (종목코드: 094480) – 국내 최초 스테이블코인 기반 간편결제 특허 보유

갤럭시아머니트리는 디지털 상품권·포인트 결제 플랫폼 기업으로 스테이블코인과 간편결제를 연동하는 국내 특허를 다수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은행 CBDC 시범 사업에 참여하면서 스테이블코인 결제 프로토콜을 병행 연구한 이력이 있으며 다중 통화 연동 스테이블코인 정산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블록체인 기업들과 기술 제휴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 코인을 고르는 것보다 ‘기업’을 고르는 시대

지금까지 살펴본 국내 상장사들은 직접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거나, 그 정산·결제·플랫폼에 실질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기업들입니다.
이제는 단순히 암호화폐 투자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그 코인을 실질적으로 운용하는 기업의 가치와 방향을 이해하는 것이 더 중요해진 시점입니다.

스테이블코인은 제도화 이후 핀테크, 게임, 보험, 결제, 플랫폼 산업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 잡을 수 있기 때문에 관련 기술을 선점하고 있는 상장사의 흐름을 잘 파악하는 것이 중장기적 투자 전략에서 매우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될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스테이블코인 관련 국내 기업들의 움직임은 디지털 금융 인프라 전체의 방향성과 함께 주식 시장에서도 새로운 기회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