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이블코인

스테이블코인을 도입한 해외 패션 브랜드 사례 분석

kisense 2025. 7. 15. 20:44

전통적으로 패션 브랜드는 고급 이미지, 감성 중심의 마케팅, 그리고 브랜드 충성도에 기반해 성장해 왔습니다.
하지만 2020년 이후 디지털 환경이 급변하고 소비자의 결제 습관이 다양화되면서 패션 산업에서도 ‘새로운 결제 수단’에 대한 실험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그 중심에 있는 것이 바로 스테이블코인입니다.

스테이블코인을 결제 수단으로 도입하는 해외 패션 브랜드


스테이블코인은 암호화폐의 속도와 편의성은 유지하면서도 법정화폐에 연동된 안정성을 갖춘 디지털 자산입니다.
그 덕분에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과 달리 가격 변동에 대한 불안 없이 실물 상품 결제에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해외 유명 브랜드들 역시 이 점에 주목하며 직접 스테이블코인 결제를 도입하거나, NFT·메타버스와 연계해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하는 방식을 실험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제로 스테이블코인을 도입한 해외 패션 브랜드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도입 배경, 활용 방식, 의미 있는 변화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 파리 생제르맹 × 크립토닷컴: 스테이블코인 결제 도입

프랑스의 명문 축구 클럽이자 스포츠 패션 브랜드로도 확장 중인 파리 생제르맹(PSG)은 글로벌 암호화폐 결제 플랫폼인 Crypto.com과 파트너십을 맺고, 자사의 공식 온라인 스토어 일부 상품에 대해 스테이블코인 결제를 지원하는 시스템을 실험적으로 도입했습니다.

이 프로젝트에서는 USDC(달러 연동형 스테이블코인)를 중심으로 결제가 가능하도록 설계됐으며,
결제 처리 속도, 수수료 효율, 실시간 환율 적용 등에서 전통 카드 결제보다 빠르고 저렴한 경험을 제공했습니다.

이 실험은 단순한 결제 시도 그 이상으로 디지털 자산을 보유한 글로벌 소비자층과 직접 연결되는 창구를 열었다는 점에서 브랜드 확장 전략으로도 주목받았습니다.

 

✅ FARFETCH와 스테이블코인 결제 연동 실험

글로벌 럭셔리 패션 플랫폼인 FARFETCH는 2022년부터 일부 럭셔리 브랜드 상품에 대해 USDT, USDC 등 주요 스테이블코인으로 결제 가능한 시스템을 제한적으로 오픈했습니다.

특히 유럽 및 중동 지역에서는 전통 은행 결제가 번거롭거나 신용카드 보급률이 낮은 사용자층을 위해 간편한 월렛 연동형 스테이블코인 결제 시스템을 베타 테스트 형식으로 제공했습니다.

FARFETCH는 이 실험을 통해 두 가지 가능성을 테스트했습니다.

  • 첫째, 실제 구매 전환율이 기존 카드 대비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 둘째, 암호화폐를 보유한 사용자층과 고가 럭셔리 상품 시장이 얼마나 겹치는가?

이러한 테스트 결과를 바탕으로 2024년부터는 일부 브랜드를 중심으로 본격적인 암호화폐 결제 옵션 확대를 예고한 바 있습니다.

 

✅ 패션 NFT와 연계된 스테이블코인 활용 사례

명품 브랜드인 돌체앤가바나(Dolce & Gabbana)는 NFT 기반의 디지털 컬렉션 판매를 통해 USDC 결제를 정식으로 지원했으며,
사용자는 블록체인 지갑을 통해 디지털 의상과 실물 제품을 동시에 구매하는 구조를 경험할 수 있었습니다.

이 경우 스테이블코인은 단순한 결제를 넘어서 토큰화된 자산(NFT)과 실물 상품 간의 교환 수단으로 활용되었으며,
이는 미래의 패션 소비가 디지털과 실물이 혼합된 방식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대표적인 예입니다.

또한 RTFKT(아티팩트) 같은 디지털 패션 전문 브랜드는 스니커즈, 아바타 패션 아이템 등을 판매할 때 USDC 기반의 자동결제 시스템을 메타마스크 지갑과 연동해 제공하며, Z세대 소비자들에게 빠르게 확산 중인 NFT·디지털 소유 기반의 쇼핑 경험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 브랜드는 결제를 넘어서 새로운 접점을 실험하고 있다

스테이블코인을 도입한 해외 패션 브랜드들의 공통점은 단순히 “결제 수단을 추가했다”는 수준을 넘어
새로운 소비자층과 연결되는 방식을 실험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USDC, USDT 같은 스테이블코인은 가격 변동 없이 안정적인 지불 수단으로 신뢰를 얻고 있으며, 디지털 환경에 익숙한 Z세대, 크립토 투자자, NFT 보유자들을 타겟으로 한 브랜드 마케팅 수단으로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스테이블코인을 통해 전통적인 브랜드가 블록체인 기반 생태계에 진입할 수 있는 접점이 생기면서 패션 산업은 점점 더 ‘디지털 자산 기반의 소비 구조’로의 이행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2025년 현재, 스테이블코인은 단순한 투자 수단이 아니라 브랜드 전략, 사용자 경험, 글로벌 확장성을 연결하는 중요한 결제 인프라로 자리 잡아가고 있으며 앞으로는 더 많은 글로벌 브랜드들이 이 흐름에 동참할 가능성이 높습니다.